과민성대장증후군
과민성 장 증후군이란 대장암, 궤양성 대장염 등 특별한 질환이 없이 만성적으로 대장 기능에 이상 징후가 보이는 질환을 말한다. 주로 20대에서 40대에 걸쳐 잘 나타나는 질환이며, 60대 이상에서는 잘 찾아볼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인구의 약 10%가 이 증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과 여성을 비교해 봤을 때 대개 1:1.5 정도로 여성에게 많은 질환이며, 남성은 설사형이 많은 반면 여성은 변비형이 많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역학
- 과민성 장 증후군은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구미서는 소화기과에서 20~60%를 차지)
- 과민성 장 증후군은 잠재환자는 많지만, 실제로 진료를 받는 사람은 적도
- 남성 환자수 < 여성 환자수
- 남성 환자는 설사형, 여성 환자는 변비형이 많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유형
- 설사형
- 변비, 설사 교체형
- 점액형
- 가스형
과민성 장 증후군의 증상
복통
복통은 아랫배가 전체적으로 아프다는 사람도 있지만 보통은 좌하복부가 집중적으로 아픈 경우가 많으며 우하복부 통증도 흔하다. 식사 직후나 용변을 보기 전에 특히 많이 아프며 배변을 하고 나면 씻은 듯이 가라앉는다.
설사
설사가 계속 반복되어 이대로 가면 죽을 것 같은 심정이 들지만 체중은 줄어들지 않는 것이 이질환의 특징이고 실제로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사망한 사례는 없다.
기타
권태감, 불면증, 어깨 결림 등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고, 기타 정서장애(등교거부, 공황장애)등의 합병을을 동반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토끼 똥 같은 변이 나오거나, 점액이 배출되기도 하고 잔변감, 가스로 인한 복부 팽만, 방귀와 잦은 트림 드으이 증상이 있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진단
일단 진단은 설사와변비, 복통 증세에 대하여 진찰한다. 그리고 다른 대장질환이 없다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그래서 혈액검사, 잠혈반응검사, S상결장경검사, 대장내시경, 대장조영술, 유당 내성 검사 등 많은 검사를 해야 한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치료
식사요법
고섬유식을 하는 것으로도 큰 효과가 있다. 야채는 날로 먹어도 좋지만 국이나 찌개 등 삶아 먹는 것이 많은 양을 먹을 수 있어서 유리하다. 장내 가스가 많이 차는 음식물을 삼간다. 즉 탄산음료, 흡연, 껌, 빠른 식사, 고지방 식사, 우유를 삼간다.
생활요법
규칙적인 생활, 규칙적인 배변습관(특히 아침식사 후), 규칙적인 수면을 하도록 한다.
운동요법
산보, 체조 등의 적당한 운동과 복식호흡을 한다.
약물요법
복통이 있으면 장관운동을 억제하는 평활근 이완제를 쓴다. 설사를 하면 로페라미드 등 주사제를 사용하고, 세로토닌계 항우울제 등도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다.
대구 바로본병원
무릎 어깨 허리 아플땐 - 바로본병원!!
진료과목 - 정형외과, 신경외과, 일반외과, 내과, 신경과, 종합건강검진
문의전화 1644-8575
대구광역시 동구 국채보상로 769(신천동, 동신교 옆)
홈페이지 : http://barobone.kr
응급실 24시간 진료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문콘딜로마 (0) | 2017.08.19 |
---|---|
항문질환 "직장류" (0) | 2017.08.18 |
요추추간판탈출증이란? (0) | 2017.08.16 |
크론병이란? (0) | 2017.08.16 |
항문소양증이란? (0) | 2017.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