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추간판탈출증이란?
목은 7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뼈 사이에는 추간판(디스크)이 있습니다. 이 디스크는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무게와 충격을 견디어 낼 수 있는 수분을 함유한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추간판(디스크)이 노화에 따라 수분이 손실되고 추간판(디스크)을 싸고 있는 막이 손상되고 섬유가 찢어져서 안에 들어있는 내용물인 수핵이 빠져나온 상태를 목 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라 합니다.
요추추간판탈출증 원인
요추추간판탈출증은 수핵의 내용물이 척추체의 후방 또는 후외측으로 탈출되면서 해당되는 신경근을 압박함으로써 요통과 좌골 신경통을 일으킨것입니다. 성별로는 남자에 많으며 제4, 제5요추간에 잘 발생하고, 다음 제5요추와 제1천추간 사이에 많습니다. 압통은 추간판이 탈출된 부위의 척추부위를 압박하면 해당 신경근에 방사통을 호소합니다. 급성기에는 근육의 경직으로 운동제한이 심하거나 급성기를 벗어나면 어느 정도의 운동은 가능합니다. 신경근이 압박당하면 허리가 한쪽으로 기울어집니다.
요추추간판탈출증 증상
- 허리, 다리가 당기고 아프다.
- 허리를 앞으로 굽히면 통증이 심해진다.
- 통증으로 인해 똑바로 눕지 못하고 옆으로 누워자게 된다.
요추추간판탈출증 진단
하지직거상검사로 근력감퇴, 감각이상, 슬관절 및 족관절 심건반사에 이상유무를 진단하고 방사선검사 X-ray 및 CT 검사로 더욱 정확하고 쉽게 디스크의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CT는 종, 횡으로 잘라서 볼 수 있고 신경과 디스크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디스크에 의해서 신경이 누른 모습을 직접 볼 수가 있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요추추간판탈출증 치료
보존적요법
침상안정을 수주일하며 보조적 치료로 진통제, 소염제, 근육이완제를 투여하고 골반견인, 부리치료, 보조기를 착용함
수술적요법환자에게 부분추간판 절제술과 함께 탈출된 수핵제거술을 시행, 근육마비, 견딜 수 없는 통증, 2~3개월 동안 보존적요법을 하여도 효과가 없거나 신경압박증상이 점점 증가할 때에 선택적으로 실시한다.
대구 바로본병원
무릎 어깨 허리 아플땐 - 바로본병원!!
진료과목 - 정형외과, 신경외과, 일반외과, 내과, 신경과, 종합건강검진
문의전화 1644-8575
대구광역시 동구 국채보상로 769(신천동, 동신교 옆)
홈페이지 : http://barobone.kr
응급실 24시간 진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