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본병원 수면내시경
수면내시경(의식하 진정 내시경) 검사란?
수면내시경이란 진정제약물을 투여하여 '의식이 있는 진정(Conscious Sedation)', 즉 가수면 상태를 유도하고 이를 유지시켜가면서 내시경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각종 내시경 검사의 불쾌한 감각이나 통증을 없이하고, 검사종료 후에 소급하여 기억을 못하게 함으로써 내시경검사가 매우 편했다고 느끼게 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수면내시경을 위하여 사용되는 약제들은 환자를 어느 정도의 진정상태에 도달하게 한 후 검사를 함으로써 검사에 따르는 불편함을 경감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를 마취한 상태로 하는 검사는 아니며 환자의 협조가 가능한 진정상태에서 감사를 합니다. 또한 사람에 따라서는 적정량의 약제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면이나 적정한 정도의 진정상태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환자의 협조도가 낮아져 검사 자체가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수면내시경의 적응증
- 이전 검사경험이 너무 힘들었던 경우
- 검사에 대한 공포가 있는 경우
- 장시간 내시경 시술이 필요한 경우
- 치료 후 결과판정 위한 반복검사의 경우
- 자극에 너무 민감한 사람의 경우
수면내시경의 금기증
- 임산부
- 약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
- 기도유지가 어려운 환자
- 흡인위험이 높은 환자
- 이전 검사시 부작용이 심했던 환자
수면내시경의 과정
- 수면내시경을 시행받기 위해서는 생리식염수나 포도당 수액을 주사 받고 일반 내시경과 같은 전처치를 받고 대기하게 됩니다. 진정에는 내시경 직전에 사용하게 되며, 내시경이 시행되는 동안 환자의 맥박과 산소포화도를 모니터링 합니다.
- 내시경이 끝난 뒤에는 특별히 준비된 회복실 침대에서 안정하시고 충분히 회복될 때까지 관찰하게 됩니다.
- 의식이나 전신상태가 충분히 회복된 뒤에 귀가하게 되며, 검사 당일에는 운전을 하거나 기계를 다루거나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일은 삼가하시고, 가능하다면 하루 정도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수면내시경의 합병증 및 주의
- 수면내시경에 사용하는 진정제는 드물지만 일부에서 인두마취로 인한 흡인, 호흡저하로 인한 저산소혈증, 혈압저하, 부정맥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령의 환자, 심폐기능에 장애가 있는 환자, 또는 급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내시경 예약시 사전에 알려주셔야 합니다.
- 만성 신부전, 만성 심부전,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약물 지속시간이 연장되어 주의를 요하며 진정제에 대한 해독제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면내시경에 대한 오해
Q. 수면내시경은 젼혀 아프지 않다?
A. 수면대시경은 의식하 진정내시경으로 마취상태가 아니며, 수면약제는 진통제가 아니므로 어느 정도의 불편감은 느낄 수 있습니다.
Q. 수면내시경은 위험하다?
A. 지금까지 여러 연구와 임상경험을 볼 때 수면 위내시경 검사는 매우 안전하며 일반 위내시경과 안전성의 차이는 없으며, 부작용이 우려될 경우 길항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수면내시경을 하면 기억력이 빨리 감퇴된다?
A. 수면내시경 검사를 하는데 사용하는 약은 순간적으로 잠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나 체내에서 수분이면 약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 전혀 후유증이나 다른 유해작용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Q. 수면내시경은 일반내시경보다 부정확하다?
A. 수면내시경은 환자분이 편안한 수면상태에서 검사를 받기 때문에 구역질과 트림이 줄게 되어 위의 구석구석을 잘 볼 수 있어 위내시경검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바로본병원
무릎 어깨 허리 아플땐 바로본병원
진료과목 - 정형외과, 신경외과, 일반외과, 내과, 신경과, 건강검진
문의전화 1644-8575
대구광역시 동구 국채보상로 769(신천동, 동신교 옆)
홈페이지 : http://barobone.kr
응급실 24시간 진료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출돌증후군이란? (0) | 2017.07.03 |
---|---|
바로본병원 대장내시경 (0) | 2017.07.03 |
십자인대파열이란? (0) | 2017.07.01 |
무지외반증이란? (0) | 2017.07.01 |
오십견이란? (0) | 2017.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