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게실질환

by 스마트님 2017. 10. 24.

게실질환

1. 게실질환이란?

게실이란 약해진 장벽을 통해 발생된 주머니 또는 낭(; pouch)으로서 결장에서 자주 관찰됩니다. 게실이 존재하는 상태를 게실증이라 하고, 게실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를 게실염, 천공 혹은 농양이 생기는 상태를 합병성 게실염이라고 부릅니다. 게실은 선진국에서 매우 흔한 질환으로 서구화된 사회에서 저섬유질 섭취가 그 요인으로 생각됩니다. 서구에서의 게실은 주로 좌측게실로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그 빈도가 증가하여 60세경에서는 일반 인구의 약 30%에서 발견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권에서는 우측 결장에서도 게실이 자주 관찰됩니다.

 

2. 게실질환의 증상

 

1) 게실증

 

단순한 게실증은 대부분이 증상을 호소하지는 않으나, 가끔 가벼운 복통, 팽만감 또는 변비와 같은 불편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비특이적인 것으로서 과민성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이나 소화성궤양 등의 소화기 질환과 감별이 필요합니다.

 

2) 게실염

 

게실에 염증 또는 감염이 발생한 상태로 복통과 함께 오한(chills), 발열( fever) 등이 동반되는데 이러한 증상의 정도는 염증이나 합병증의 심각한 정도와 비례합니다.

 

3) 합병성 게실염

 

농양, 천공, 누공, 출혈 그리고 협착에 의한 대장폐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대부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3. 게실의 진단

 

증상이 없는 게실증은 대부분 대장내시경이나 이중바륨대장조영술에 의해 진단됩니다. 그러나 게실염이나 합병증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상기 검사는 게실염증을 천공으로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게실염을 진단하기 위해서 시행하지 않고 대신 컴퓨터단층촬영 검사로 대장주변의 염증이나 합병 상태를 판단하게 됩니다.

4. 게실질환의 치료는 어떻게 하는가?

 

1) 게실증

 

식이 섬유질의 섭취를 증가시킴으로써 게실증의 증상을 완화시키며 게실염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섬유질의 섭취를 증가시킴으로써 대변을 부드럽게 하고 결장 내의 압력을 감소시켜 장내용물(즉 대변)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를 위해 권장되는 식이 섬유질의 섭취량은 하루 20-35 그램이 추천된다. 식이로서 충분한 섬유질을 섭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섬유질 보조제의 투여가 권장된다.

 

2) 게실염

 

게실염의 치료는 감염과 염증을 조절하고 결장을 쉬게 하며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합병증이 없는 게실염의 경우에는 수일간의 항생제를 조기에 투여하면 대부분에서 반응이 좋다. 장을 쉬게하기 위해서는 침상 안정을 취하고 금식 또는 가벼운 식사를 하며 적절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복통 또는 감염이 심한 경우에는 입원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재발성 혹은 합병증이 동반된 게실염

 

게실염의 증상이 심하거나 반복 재발하는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을 고려합니다. 그리고 게실염에 의해 합병증(농양, 천공, 복막염, 누공, 출혈 등)이 발생한 경우 역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게실이 있는 결장을 절제하고 즉시 문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시행됩니다. 그러나 천공이나 다량의 출혈 등으로 대장문합이 위험할 경우 문합 없이 대장루를 시행하는 방법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는 추후 장루복원과 대장문합술을 추가적으로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바로본병원

무릎 어깨 허리 아플땐 바로본병원

진료과목 - 정형외과, 신경외과, 일반외과, 내과, 신경과, 건강검진

문의전화 1644-8575

대구광역시 동구 국채보상로 769(신천동, 동신교 옆)

홈페이지 : http://barobone.kr

응급실 24시간 진료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쇄골 골절  (0) 2017.10.25
무릎의 골괴사증  (0) 2017.10.24
대구척추교정병원 대규모 재활센터 ‘바로본병원’  (0) 2017.10.20
대장 폴립(colon polyp)이란?  (0) 2017.10.19
장루란?  (0) 2017.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