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안내
전통시장 온누리 상품권이란?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수요 진작을 위하여 중소벤처기업부가 2009년 7월부터 발행하고 있으며 전국 가맹시장에서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한 상품권입니다.
- 3만원권, 1만원권, 5천원권이 있으며, 액면금액 60%이상 사용시 잔액 환금 가능
- 최근 상품권 시장의 변화되는 소비 형태에 발맞추어 카드형 전자상품권(5만원, 10만원, 맴버십카드)을 출시하여 발행하고 있음
상품권 사용 방법
전통시장 온누리 상품권은 전국 13개 금융기관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전국 1,300여개 가맹 전통시장 또는 상점가에서 사용 할 수 있고, 온누리 전자상품권의 경우 온라인 전통시장몰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13개 금융기관
-
대구은행
-
기업은행
-
우리은행
-
경남은행
-
부산은행
-
광주은행
-
전북은행
-
신한은행
-
새마을금고
-
우체국
-
신협
-
농협
-
수협
온라인 전통시장몰
-
우체국 전통시장(sijang.epost.go.kr)
-
이지웰페어(www.onnuri-sijang.com)
-
인터파크 비즈마켓(www.e-jangter.com)
-
제주전통시장 쇼핑몰(www.matket.jeju.kr)
-
인터넷수산시장(www.fishsale.co.kr)
온누리상품권 결제 수단
구 분 |
결제 가능 수단 |
비 고 |
개 인 |
연금, 공무원 복지카드 |
개인카드 결제 불가 |
법 인 |
현금, 법인카드 |
|
구매한도
구 분 |
구매한도 |
비 고 |
개 인 |
1인 월 30만원 |
5% 할인(평시) |
1인 월 50만원 |
기간 : 17.9.1 ~ 10.31 5%할인 |
가맹시장 및 점포 확인 : 전통시장 통통 홈페이지(www.sijangtong.or.kr) 및 온누리상품권 콜센터(1357-0)
온누리상품권 가맹점포에는 상품권 가맹점임을 알리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생활의 깨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들안길 푸드페스티벌 (0) | 2017.09.08 |
---|---|
노인인플루엔자 무료 접종 안내 (0) | 2017.09.08 |
대구시, 지자체 최초 신속지진대응 체계 구축 (0) | 2017.09.07 |
금호강 하중도 코스모스 꽃단지 개방 (0) | 2017.09.07 |
대구시, 이륜차 불법 운행 브레이크 건다 (0) | 2017.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