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B형간염 감염경로

by 스마트님 2017. 9. 1.
반응형

B형간염 감염경로

B형간염이란?

만성 B형간염이란 B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입니다.
B형간염 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간염으로 전체 인구의 약 3~4%가 현재 감염된 상태이며, 그 중 실제로 만성 간염을 앓고 있는 환자는 약 4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해마다 2만여 명이 간질환으로 사망하고 있으며그중 만성 B형간염이 차지하는 비율은 50~70% 정도 됩니다.
우리나라는 간 관련 질환 사망률이 높은 나라 중 하나이며, 사회적으로 가장 생산력이 왕성한 40~50대 남성들의 중요한 사망원인도 바로 간질환입니다.

 

B형간염은 감염경로

B형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혈액이나 체액에 의한 비경구적 방법을 통하여 전파되는데, 대표적인 예로 어머니와 신생아 사이의 수직감염, 성관계를 통한 전염과 B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에 손상된 피부나 점막이 노출되어 감염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수직감염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인 어머니에서 태어난 신생아에게 예방 접종 등의 적 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못한 경우, 자녀들이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가 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아버지가 보유자인 경우나 형제, 자매가 보유자인 경우에 어머니의 경우처럼 전염력이 강하지는 않으나 가족간 전염의 가능성 이 있으므로 예방 접종을 필히 하도록 하여 면역을 가지도록 해야 합니다.

 

성접촉을 통한 감염
배우자 중 B형간염 보유자가 있다면 부부 사이에도 성관계 등을 통하여 전염 될 수 있으므로 예방 접종을 통해 건강한 부부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회생활에서의 감염
비위생적인 기구를 사용하여 문신, 침, 부황, 피 어싱을 하거나 환자의 면도기, 칫솔 등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 혹은 혈액에 노출되는 경우를 통해서도 전염됩니다. 동성연애자, 마약중독 자, 혈액투석 환자, 환자의 혈액을 취급하 는 채혈실 혹은 검사실의 의료인 등도 감염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와의 가벼운 포옹이나 입맞춤, 식사를 같이 하는 등의 일상적인 사회생활을 통하여 감염될 가능성은 적습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비게이션 수술 인공관절 수명 연장  (0) 2017.09.02
견봉-쇄골 탈구  (0) 2017.09.01
신경차단술이란?  (0) 2017.08.31
척추관협착증이란?  (0) 2017.08.30
척추분리증이란?  (0) 2017.08.29